깃허브에 레파지토리를 만들었다는 전제하에 시작함

 

깃허브의 레파지토리와 이클립스 또는 sts와 연동을 할 때는 먼저 [ Git Repository ] 뷰를 추가해야함

( 이클립스 또는 sts 를 이제부터 이클립스라고 통칭하겠음 )

 

<< [ Git Repository ] 뷰 추가하는 방법 >>

[ Window ] -> [ Show View ] -> [ Other ]

 

[ git 으로 검색 ] -> [ Git Repositories 클릭 ] -> [ Open 클릭 ]

 

 

이제 [ Git Repositories ] 뷰에서 깃허브 레파지토리와 이클립스를 연동하자

이클립스 하단에 있는 [ Git Repositories ] 뷰 내에서 빈 영역을 우클릭 -> [ Clone a Git Repository... ] 클릭

[ Clone a Git Repository... ] 는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내 컴퓨터에 다운 받는 기능임

 

다운 받을 깃허브 레파지토리 정보들을 입력하자

1. Location

 -> URI : 내 컴퓨터에 다운 받을 깃허브 레파지토리의 주소

 -> Host : URI 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됨

 -> Repository path : URI 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됨

 

2. Connection :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기 위한 세부 설정 / 그대로 둬도됨

 

3. Authentication :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기 위한 깃허브 계정 정보

 -> User : 깃허브에 접속할 때 입력하는 아이디 또는 닉네임

 -> Password : 깃허브에서 로그인 후 생성한 Personal Access Token ( PAT )

 

1, 3 을 입력 후 [ Next ] 클릭

 

 

내려 받을 브랜치들 확인 후 [ Next ]

 

 

다운 받은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내 컴퓨터의 어디에 둘건지 설정하는 부분 

 

1. 내 컴퓨터에 둘 경로

 -> Directory :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아 내 컴퓨터의 이 경로에 두겠다

 

내 컴퓨터의 어디에 둘 지 지정 후 [ Finish ]

 

다시 아이디, PAT 를 입력하는 부분이 나옴

아이디, PAT 를 저장해두지 않으면 매우 귀찮으므로 이번에 입력해 두고 [ Store in Secure Store ] 체크 한 후 [ Log in ] 클릭

 

그러면 비밀번호 힌트 설정할래? 창이 나오는데 PAT 이므로 힌트를 지정해도 알 수 없으니 [ No ] 를 누르자

 

 

여기까지 연동 끝~!

연동이 제대로 됐다면 아래와 같이 [ Git Repositories ] 에 연동된 레파지토리가 보일 것


이렇게 연동은 했는데 완전히 끝난건 아님

깃허브에서 다운 받은 레파지토리(프로젝트)를 이클립스로 불러오기 까지 해야 완전히 끝~!

 

프로젝트를 이클립스로 불러오는 방법을 알아보자

 

상단에 [ File ] -> [ Import ]

 

[ General ] -> [ Projects from Folder or Archive ] 클릭 -> [ Next ] 클릭

 

 

[ Directory... ] 을 클릭해 앞서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아 저장했던 위치로 찾아간 후 [ 폴더 선택 ] 하면 됨

(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아 저장했던 위치 를 모르겠다면 밑 이미지를 먼저 보자 )

 

혹시 [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다운 받아 저장했던 위치 ] 를 모르겠다면 [ Git Repositories ] 뷰에 다운 받은 레파지토리 이름 옆을 보면 어디에 저장했는지 나와있음

 

이제 [ Project Explorer ] 뷰를 보면 이클립스와 깃허브 레파지토리 연동이 된 걸 볼 수 있음

여기까지 완전히 끝~!

728x90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