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< 학습 목표 >>
1. URL의 형식을 이해할 수 있다.
2. 포트 번호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다.
3. 이클립스 내 서버가 설치되어있는 경로를 찾을 수 있다.
URL과 포트 번호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이해해보자
URL의 형식은 프로토콜://서버의IP주소:포트번호/기타경로 라고 했음
IP 주소가 192.168.10.12인 컴퓨터가 있을 때
이 컴퓨터에 톰캣과 같은 웹 서버 프로그램, DB 서버 프로그램, FTP 서버 프로그램 등을 설치하고 실행을 시키면 이제 이 컴퓨터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가 되고 이 서버 컴퓨터로 클라이언트들이 요청을 보낼 수 있음
서버들은 각자 포트 번호를 사용하고 있음
이 포트 번호는 해당 서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트 번호임
웹 서버 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다양한 웹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음
앞 글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요청 방식과 URL을 분석해 요청이 들어간다는걸 배웠음
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에 http://192.168.10.12:80/market/index.jsp 를 입력해 요청을 보냈다면
아이피가 192.168.10.12 인 컴퓨터로 요청이 들어가
80번 포트를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으로 요청이 들어감
그 안에서 또 프로젝트 이름이 market 인 프로젝트에 index.jsp 를 요청하는 것
이제 URL의 형식과 IP 주소, 포트번호 그리고 기타경로 를 이해할 수 있을 것
웹 서비스는 웹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말로 현재 아래 웹 서버에는 웹 서비스가 2개 실행되어있음
웹 서비스가 실행되려면 웹 서버에 웹 서비스를 war 형식으로 압축해 두면 웹 서버가 실행되면서 웹 서버가 war로 압축된 웹 서비스를 인식하고 실행시켜줌
따라서 위 이미지에 보이는 웹 서버 안에는 market, edu 웹 서비스를 war 형식으로 압축해둔 것
현재 우리 컴퓨터에는 두 가지 톰캣이 있음
1. 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
2. C 드라이브 안에 설치된 톰캣
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과 관련된 설정을 하려면 그에 맞는 경로를 찾아가야하고 C 드라이브 안에 설치된 톰캣과 관련된 설정을 하려면 역시나 그에 맞는 경로를 찾아가야함
우리는 C 드라이브 안에 설치된 톰캣을 실행시킬 일은 없으므로 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과 관련된 설정만 신경쓰면 됨
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자
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은 이클립스의 workspace 안에 있음
이클립스 workspace 경로는 [ 이클립스 내 Window ] (1) -> [ Preferences ] (2)
workspace 로 검색(1) -> Startup and Shutdown 항목 내 Workspaces(2)
해당 경로로 들어가보자
이클립스 안에 설치된 톰캣이 바로 보이지는 않고 여기서도 다시 몇 단계 더 들어가야함
.metadata 폴더(1) -> .plugins 폴더(2) -> org.eclipse.wst.server.core 폴더(3) -> tmp0 폴더(4)
이 tmp0 가 이클립스 내 설치된 톰캣의 폴더임
이 안에 들어가면 conf, logs, webapps 등 폴더가 있는데 이클립스 내 설치된 톰캣 설정과 관련된 폴더임
conf 폴더는 톰캣 설정과 관련된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
logs 폴더는 톰캣 서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볼 수 있는 폴더
webapps 또는 wtpwebapps 폴더는 war 형식으로 압축된 웹 서비스가 들어있는 폴더
이클립스 내 설치된 톰캣은 wtpwebapps 폴더에 있는 war 형식으로 압축된 웹 서비스를 실행시켜줌
웹 개발을 이해하려면 이클립스 내 톰캣이 설치된 경로도 알고 있어야하니 잘 기억해두자
'Servlet + JSP > Serlvet-Chapter0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02. 서블릿 추가 & 등록, 실행, 요청(호출) (0) | 2023.02.24 |
---|---|
Chapter02. 서블릿 추가, 등록, 실행, 요청(호출) (0) | 2023.02.24 |
Chapter02. 용어 정의 (0) | 2023.02.24 |
Chapter02. 웹 프로젝트 실행시키기 (0) | 2023.02.24 |
Chapter02. 웹 프로젝트의 구조 이해와 웹 프로젝트 만들기 (0) | 2023.02.23 |